반응형

비트토렌트토큰(BTT)은 인터넷 파일 공유 서비스인 비트토렌트(BitTorrent)를 위한 암호화폐 입니다. 비트토렌트토큰의 화폐 단위는 BTT입니다. 중국의 암호화폐인 트론(Tron) 측은 2018년 6월 비트토렌트(BitTorrent)를 1억 2,000만 달러(약 1,3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개인간 P2P 파일 공유 업체인 비트토렌트는 전 세계 138개국에 1억명의 활성화된 사용자와 10억명의 일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어 P2P 시장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트론의 비트토렌트 인수는 트론 생태계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비트토렌트의 인프라와 트론의 블록체인이 결합되면 세계에서 가장 큰 P2P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결합은 온라인 콘텐츠의 지불 계산과 글로벌 결제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할 것 입니다. 콘텐츠 제작자는 중개자 없이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수억 명의 글로벌 사용자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다양한 산업이 큰 영향을 받게 될 것 입니다.

비트토렌트(BitTorrent)는 브램 코언(Bram Cohen)이 2001년 발명한 일종의 창의적인 분산형 통신협약입니다. BTT는 트론이 발행하는 TRC-10 토큰입니다. 트론의 산하인 비트토렌트(BitTorrent)가 출시했으며, 목표는 코인을 통하여 인센티브 방식으로 인터넷 공유파일 다운로드 속도와 종원의 수명을 높이게 됩니다. 향후 BTT 용도는 구매, 생방송BJ보상, 신 콘텐츠 크라우드 펀딩 등으로 확장할 것 입니다. BTT는 콘텐츠 제작자가 중개자 없이 스스로 코인을 사용하고 얻게 됩니다. 비트토렌트의 P2P인터넷망과 트론 블록체인이 결합되면 1억이 넘는 유저에게 상용화 될 것 입니다.

BTT 플랫폼으로 트론을 택하게 된 이유는 트론의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입니다. 실제로 트론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보다 200배 빠른 트랜잭션 처리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트론 플랫폼에서 많은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트론은 매일 300만 개 가량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며 이는 트론 플랫폼에서 BTT토큰이 교환될 수 있는 스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트론 플랫폼은 빠른 속도와 BTT트랜잭션을 많이 처리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제공합니다.

BitTorrent의 방대한 사용자수는 백만일활(일일이용량100만명) dApp를 구축하는데 아주 큰 기초가 됩니다. BitTorrent회사는 BT협약의 통제권을 갖고 있으며 가장 큰 사용자그룹은 BitTorrent와 uTorrent 입니다. 매 월 1억7천만명이 BT제품을 사용하며 BT는 매일 전 세계 40%에 해당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역분포로 볼 때 BitTorrent 세계사용자수는 10억명을 초과했으며 그 중 19개 나라 사용자수는 전체사용자수의 5%(6천만)를 초과했으며 23개 국가는 각각 100만명을 초과하고 있습니다. 현재 BT의 1억명 사용자 중 절대다수가 코인권사용자가 아니지만 중앙화 기술에 관심 있고 P2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사용자는 25세에서 35세 사이 남성을 위주로 BTT에어드랍을 받게 되면 BTT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될 것 입니다.

사실 BTT의 최대 경쟁자는 BT자체입니다. dApp구축에 있어서 TRX보유자 규모도 소홀해서는 안 됩니다. 2019년 2월1일까지 TRX보유자는 105만2341명이다. 트론과 BT를 비교하면 하나는 중앙화 네트워크 인프라시설로 글로벌 자유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축했고 다른 하나는 중앙화 협약으로 사용자공유와 콘텐츠 다운로드를 지원하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볼 때 TRX보유자의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기에 BTT가 TRX보유자에 한해 연속 6년동안 에어드랍을 지원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보존율과 활동성을 보장하게 됩니다.

신규투자자들도 TRX보유자와 마찬가지로 BTT에 대한 드높은 관심과 열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BTT가 에어드랍을 선포한 후 각 거래소에서도 조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오픈 된 거래소 명단은 바이낸스, Bithumb、OKEx, 후오비 등 10여개 유명거래소들로 TRX보유자가 순조롭게 에어드랍 BTT를 받을 수 있게 하여 신규투자자들의 관심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사용자시장을 먼저 확보한 BT가 BTT출시후 새로운 dApp출시는 기대가치가 있습니다.

디앱 생태계 투자를 위한 게임 펀드’트론 아케이드’를 출시한지 2개월, 이 짧은 기간에 150여개의 디앱 생태계가 형성되는 등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최소한 2천개의 디앱이 구성될 것이며 능력 있는 개발자들이 무려 5천명, 올해연말에는 개발자 수를 1만5천명까지 늘어날 예정입니다. 현재 트론 에어드랍 지원 가상화폐 거래소는 오케이이엑스(OKEX), 게이트아이오, 빗썸(Bithumb) 등이 있습니다. 중앙화된 파일전송서비스는 서비스 청구자로 하여금 홍보가격을 지정하고 밴드위스에 BTT를 지불함으로써 특정된 파일이나 콘텐츠를 받습니다. 중앙화된 저장 서비는 서비스 청구자로 하여금 시간에 따라 저장비용을 지불하게 하고 서비스제공자는 일부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서비스 청구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증명을 제공하여야 합니다. 중앙화된 대리서비스는 서비스 청구자로 하여금 URL지불방식을 통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모바일화 된 응용 프로그램 혹은 IP네트워크통제를 기피하려는 응용프로그램에 유용합니다.

비트토렌트는 BitTorrent Inc.에서 관리/라이센싱하는 P2P 프로토콜과, 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를 말합니다. torrent는 영어로 '급류'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실제 영어 발음은 토런트에 가깝지만 국내에서는 토렌트라 표기하는 것이 대세로 굳어졌습니다. BitTorrent Inc.자체는 이 토렌트의 어둠의 경로에서의 이용과는 달리 합법적인 회사로 이 회사에서는 토렌트라는 이름과 더불어 기술을 라이센싱하는 것으로 먹고 살고 있습니다. P2P 대용량 파일 공유의 1인자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트토렌트를 통해 자료를 공유하려면 .torrent형식의 파일 내지는 마그넷 주소가 필요하며, 이 파일을 받아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eMule과는 다르게 .torrent파일을 자체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습니다. 이것이 비트토렌트의 지속가능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torrent파일 자체가 저작권법을 포함한 실정법 위반 소지가 있더라도 그것을 배포하는 제3자 사이트가 수사의 대상이지 비트토렌트 기술 자체는 합법입니다. 어쨌든 .torrent 파일을 구할 수 있는 검색사이트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사이트의 질에 따라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자료에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특정 시기에만 가입을 받거나 초대장을 얻어야 하는 비공개 사이트가 꽤 많습니다.

파일은 일부분을 받으면 기록이 유지되므로, 컴퓨터를 껐다가 나중에 켜서 마저 받을 수 있습니다. 공개 파일인 경우 여럿 피어의 협력을 통하여 본 서버의 부하를 줄입니다. NAS의 주요 기능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토렌트를 목적으로 구매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토렌트를 이용하여 영화, 유틸리티, 게임 등을 다운받는데도 사용합니다. 이렇듯 파일공유가 주 목적입니다. 애초에 개발된 이유가 한 명이 다른 상대와 파일을 주고 받는 방식이 아니라 파일을 조각내서 특정 다수에게 동시다발적으로 나눠 다운 받는 프로그램이라 파일 용량의 제한이 없고 해당 파일의 사용자가 많을수록 다운로드 속도가 빨라집니다.

FTP만큼 빠르지만 이어받기 같은 기능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받다가 만에 하나 인터넷이 끊어졌을 때만큼은 토렌트를 통한 파일전송이 더 유리합니다. 상대방 아이피를 아는 경우 직접 입력하여 피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안이 필요하다면 보안 목적의 토렌트 파일을 생성하고, 시드는 전부 삭제하여 받는 측에서 보내는 측 아이피를 직접 입력하여 받습니다. N개의 데이터의 분할점 무결성값을 토대로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인식합니다. 보통 무결성 검사는 파일 하나의 MD5, SHA 들을 올려서 검증하는데 토렌트는 N개 파트마다 따로 검증합니다. 파일 내부 데이터 구조는 JSON같이 트리 형태로 되어 있다. Bencode 로 검색하면 찾아볼 수 있고, 구조가 JSON 과도 동일하여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